광역시도 주민참여예산 운영계획 분석

 ▲ 광역시도 주민참여예산 운영계획 분석 ©시민참여솔루션 / 원문(클릭)


부산, 대구, 인천, 광주, 대전, 울산, 세종, 제주


지자체 다양한 시도가 주민참여예산을 발전시킨다


요 약



◯ 행안부의 <2023년 주민참여예산제도 추진계획>에 따르면 지자체별로 추진계획 수립시 예산의 전 과정(편성, 집행, 결산)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온·오프라인으로 공개할 것을 주문하고 있음

◯ 부산, 대구, 인천, 광주, 대전, 울산, 세종시, 제주도 주민참여예산 운영계획에서 발전과 성장을 위한 다양한 시도가 진행되고 있음에 주목할 필요가 있음

◯ 대구 본청이 지역주민 대상으로 체계적이고 구체적인 주민참여예산 교육을 제공하는 사례는 참고할 수 있음

◯ 대전 유성구에서 사업의 집행 및 평가과정에서도 주민참여를 보장함으로써 주민 눈높이에서 문제점을 발견하고 현장에서의 주민 의견을 수렴·반영한 개선방안 모색하는 사례는 참고할 수 있음

◯ 울산 본청이 주민참여예산제 발전방향 모색과 위원간 소통 창구 마련을 위하여 온라인 토론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퍼실리테이터를 지원하는 사례는 참고할 수 있음


2023년 주민참여예산 운영계획 분석.pdf

#거버넌스 #주민참여예산 #참여예산제도 #시민참여 #공공예산 #주민자치 #예산편성 #정책참여 #주민의견반영 #공공정책 #거버넌스모델 #민관협력 #지역예산 #시민예산제 #주민예산회의 #지역거버넌스 #예산분배 #시민제안 #주민자치회 #지역발전 #참여형정책 #예산워크숍 #주민참여프로세스 #정책결정과정 #공동체참여 #정책거버넌스 #예산투명성 #시민주도 #행정협력 #지역문제해결 #정책협업 #주민의사결정 #주민협의체 #공동체예산 #참여형거버넌스 #지방재정 #공공협력 #거버넌스행정